본문 바로가기

산,들,바다에서..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
烏山禿山城─洗馬臺址

경기도 오산시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석축 성곽. 산성. 사적.

시대 고대/삼국/백제
문화재 지정
사적 제140호
건립시기 백제시대
성격 성곽, 산성
유형 유적
면적 3만 3997㎡
소재:경기도 오산시 지곶동 162-1

사적 제140호. 독성산성(禿城山城)이라고도 불린다.
돌로 쌓은 산성으로 둘레는 약 3.6㎞인데, 현재 약 400m 정도의 성벽과 성문 4곳이 남아 있다.
쌓은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전략적 요충지에 자리하였으므로,
한강 하류에 도성을 두었던 백제시대에 축조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산성은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를 거쳐 임진왜란 때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곧 1593년(선조 26) 7월에 전라도관찰사 겸 순변사였던 권율(權慄)이 근왕병 2만 명을 모아 북상하다가
이곳에 진을 치고서 왜적을 물리쳤고,
이듬해 9월 11일~14일에는 백성들이 힘을 모아 불과 4일 만에 고쳐 쌓았다.
이러한 과정은 주변에 알려져 금지산성(衿之山城)에서도 군량을 모으고 병사를 훈련시켰으며,
월계산성(月溪山城)과 파사산성(婆娑山城)까지 영향을 미쳤다.
1595년에는 포루(砲樓) 시설을 갖추었고, 1597년 2월에는 왜병이 쏜 조총의 피해를 막기 위해서
성벽 안쪽에 평평한 집을 지었으며, 석차(石車)와 함께 투석용으로 쓰던 포차(抛車)를 배치하면서 성 밖에 목책을 세우려고 계획하기도 하였다.

임진왜란이 끝난 뒤에는 전략적 위상이 계속 중시되어,
1602년(선조 35)에 변응성(邊應星)이 수리하여 쌓았다. 1796년(정조 20)에 수원성 축조와 함께 고쳐 쌓아 오늘에 이르는데,
당시 성의 둘레는 1,800보이고 성문 4곳이 있었다고 한다.

20210629.

'산,들,바다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벤치에 그려진 그림  (0) 2021.07.01
시흥시 갯골생태공원  (0) 2021.07.01
독산성 세마대  (0) 2021.06.29
소헌공원 비석군(昭憲 公園 碑石群)  (0) 2021.06.25
U-덕 분 에 ♡  (0) 2021.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