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여울

(503)
으아리꽃 *으아리꽃 낙엽성 반관목의 덩굴식물로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의 숲에서 자란다. 길이 2~4m 정도로 벋는 덩굴줄기는 가늘고 길며 잔털이 있다. 마주나는 잎은 3출 또는 우상복엽이고, 3~5개의 소엽은 길이 4~10cm 정도의 난상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5~6월에 개화하며 꽃은 백색 또는 연한 자주색이다. 수과는 난형으로 갈색 털이 있는 긴 암술대가 그대로 달려 있다. ‘위령선’과 달리 꽃자루에 포가 없고 꽃받침조각이 8개이며 소엽에 톱니가 없다. 연한 잎은 식용하기도 하고 정원이나 울타리에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20220429. 물향기수목원.
백당나무 *백당나무 인동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의 아시아가 원산지이다. 잎은 마주 나는데, 가장자리에 톱니 모양이 조금 있다. 흰색으로 피는 꽃은 가장자리에 넓은 꽃잎이 있고, 그 안쪽으로 작은 꽃잎이 촘촘히 모여 있다. 열매는 9월경에 붉은색으로 익어 겨우내 매달려 있는데, 한방에서는 기관지염·위궤양·위통을 치료하는 약재로 사용한다. 효능으로는 관절염 치료 등이 있다. 20220429. 물향기수목원.
댕강나무 *댕강나무 인동과 댕강나무속에 속한 낙엽 활엽 관목으로 우리나라 원산이다. 높이는 2m 정도까지 자란다. 북부지방에 주로 자생하며, 평안도 지방에 많았다는 증언이 있다. 서양권에선 '아벨리아' 라고도 불리며 원예상품으로도 이 이름으로 통용되어 판매되기도 한다. 20220429. 물향기수목원.
자단 콩과에 속한 상록 활엽 교목으로 고급 목재로 이용된다. 스리랑카 원산이다. 높이 6∼8m이고 가지에는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3∼5개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 또는 넓은 타원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뒷면에는 회색 털이 빽빽이 난다. 꽃은 노란색이며 원뿔형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꼬투리는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고 1∼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목재가 자줏빛이고 박달나무처럼 단단하기 때문에 자단이라고 하며, 가구재·건축재로 쓰인다. 인도 남부에서 스리랑카에 분포한다. 자단이란 이 종(種)의 재목을 말하지만 가까운 종은 물론 다른 속(屬)의 재목까지도 섞어서 취급한다. 그러나 자단속의 목재를 열탕 또는 암모니아수로 침출하면 형광성이 나타나므로 다른 것과 구별할 수 있다. 심재에서..
백리향 한국(경상북도 울릉군) 낙엽활엽 반관목. 잎은 마주나기하며 길이 15mm로서 난상 타원형, 넓은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첨두 또는 둔두이며 예저이고 양면에 오목하게 들어간 선점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간혹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고 털이 있으며 향기가 난다. 연한 분홍색 꽃은 6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 2-4개씩 달리지만 가지 끝부분에서 모여나기 때문에 짧은 수상으로 보이고 길이가 10㎜이며 꽃자루는 길이 3mm로서 털이 있다. 20220506
백당나무 인동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의 아시아가 원산지이다. 잎은 마주 나는데, 가장자리에 톱니 모양이 조금 있다. 흰색으로 피는 꽃은 가장자리에 넓은 꽃잎이 있고, 그 안쪽으로 작은 꽃잎이 촘촘히 모여 있다. 열매는 9월경에 붉은색으로 익어 겨우내 매달려 있는데, 한방에서는 기관지염·위궤양·위통을 치료하는 약재로 사용한다. 효능으로는 관절염 치료 등이 있다. 20220506
마취목 마취목(馬醉木)은 잎에 독성이 있어 소나 말이 먹으면 마취된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상록성인데다 꽃이 많이 달리며 아름다워 분화용으로 드물게 기르며 남부지역에서는 정원용으로 쓴다. 잎을 삶거나 달여 그 물로 농작물의 해충이나 파리를 박멸한다고 한다. 꽃은 봄에 피는데, 전체가 흰색이지만 약간 붉은 빛을 띠는 것도 있다. 20220506
청매화붓꽃 청보라색의 매화꽃처럼 꽃이 피는 청매화 붓꽃 입니다. 노지월동 가능한 작고 귀여운 여러해살이 풀 이랍니다. 붓꽃과로 제주도와 거제도에서 귀화한 식물인데 원산지는 북아메리카라고 하네요. 물이 말라서 죽기보다는 과습으로 죽는일이 더 많다고 하는걸 보면 물을 아껴서 키워야 한답니다.. 20220506